안쓰는 노트북으로 개인 서버 만들기💻-배포관리 편
· 약 13분
이전 글에서는 홈서버의 네트워크를 셋팅했다. 이번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홈서버에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배포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들을 하려고 한다. 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. 필요한 부분만 찾아서 확인해보셔도 좋겠다.
- 리눅스 설치
- ssh 설치
- 서버용 설정
- docker-registry 설정
- github-action runner 설정
- 쿠버네티스 환경 구성
리눅스 설치
macos의 버젼이 오래 돼서 도커 데스크탑 설치가 안 된다. os를 업데이트하려고 했지만, 왠지 모르는 이유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튼 클릭 시, 무한로딩에 걸려버려서 리눅스를 설치했다.
ssh 설치
다음은 외부에서 홈서버의 콘솔에 접속할 수 있도록 ssh를 설치한다. ssh는 컴퓨터 간 암호화되어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. ssh에 대해 처음 들어본다면, 검색해보자. 자세히 잘 설명해준 글들이 많다.